국립 소피아 왕비 예술센터로도 불리는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  피카소, 달리, 미로 등 20세기를 풍미했던 스페인 출신 화가를 중심으로 스페인의 근,현대 미술 작품 1만여점이 전시돼 있다. 

 

 

 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Guernica). 설명이 필요없는 피카소의 대표작으로 항상 관람객으로 북적댄다. 필자가 방문했을 때도 관람객 없는 사진을 찍을 수 없을 정도였다. 게르니카는 바스크 지방의 작은 마을 이름이다. 1936년 스페인 프랑코 장군이 군사 반란으로 정권을 찬탈하면서 내전이 발발하자 세계 각국에서 프랑코에 맞선 공화국 군대에 자원했다. 이 때 독일과 이탈리아는 프랑코 독재정권을 지원했는데 독일의 히틀러는 1937년 4월26일 폭격기로 게르니카를 융단폭격, 수많은 마을 주민들을 살상했다. 피카소는 1937년 파리 만국박람회 때 스페인관 벽화 제작 의뢰를 받자 5주 동안 이 작품을 만들었다. 내전의 참상을 검은색과 흰샌, 회색만으로 표현했다. 참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았지만 캔버스 곳곳에 굴러다니는 남성과 여성, 어린아이들의 머리가 사진보다 더 극적인 효과를 만들어낸다. 표정에서도 공포와 혼란, 고뇌, 사후 경직 상태가 여실히 드러나 있다. 말이 울부짖고 있다. 특이하게도 황소는 무덤덤한 표정이다. 황소는 당시 피카소가 프랑코 장군을 상징하는 동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스페인의 초현실주의 화가인 살바도르 달리의 '창가의 소녀'(Muchacha en Ventana).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천착한 달리는 인간의 꿈이나 무의식, 환상의 세계를 화폭에 담았다. 하지만 작품 활동 초창기인 20대 초반에는 '창가의 소녀'같은 그림도 그렸다. 누이동생 안나 마리아를 모델로 그렸다고 한다. 감상자에게서 등을 돌리고 있는 구도는 독일 낭만주의 화가인 카스파르 프리드리히의 구도를 차용한 것인데, 이후 달리의 초현실주의 작품에서 자주 나타나는 꿈의 해방을 예고한다는 해설도 있다.

 

마드리드에서 프라도 미술관를 빼놓을 수는 없다.

프라도 미술관에서는 스페인 3대 화가인 엘 그레코, 디에고 벨라스케스, 프란시스코 드 고야의 작품을 비롯, 호세 데리베라, 수르바란, 무리요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벨라스케스의 대표작인 '궁정의 시녀들'(Las Meninas). 'Las Meninas'는 명예 시녀라는 뜻으로 자원해서 공주의 시녀가 된 귀족 집안의 여성이다. 실제 제목은 '마르가리타 공주의 초상'이다. 작품 가운데 어린 소녀가 마르가리타 공주다. 마르가리타 양 옆에서 있는 좀 더 나이든 소녀들이 명예 시녀들이다. 오른쪽의 여성과 개를 건드리는 소년은 난쟁이 광대다. 벨라스케스 자신도 팔레트와 붓을 들고 작품 속에 등장한다. 가운데 거울에 두 사람의 모습이 비친다. 공주의 부모인 펠리페 4세 국왕 부부다. 국왕 부부가 그림 밖에서 벨라스케스를 비롯한 작품 속 인물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느껴진다. 높이 3m에 달하는 그림은 실제 실물 모습과 비슷한 크기여서 필자도 그 공간 속에 함께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E.H.곰브리치는 저서 '서양 미술사'(백승길,이종숭 옮김. 도서출판 예경)에서 이 작품을 이렇게 평가했다. 

"우리는 거대한 그림을 그리고 있는 벨라스케스 자신을 화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가 그리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뒷벽에 있는 거울에 그들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앉아있는 왕과 왕비의 모습이 비춰져 있다. 그러므로 중앙의 한무리의 사람들은 화실을 방문온 것으로 여겨진다. 중앙의 인물은 두 시녀를 좌우에 거느리고 있는 왕의 어린 딸 마르가리타 공주이다. 시녀 중의 한 사람은 공주에게 다과를 주고 있고 다른 시녀는 국왕 부처에게 절을 하고 있다. 우리는 이 시녀들의 이름뿐만 아니라 심심풀이로 궁 안에 데리고 있는 두 사람의 난쟁이(못생긴 여자와개를 놀리고 있는 소년)의 이름도 알고 있다. 배경에 있는 심각한 얼굴을 한 어른들은 방문객들이 얌전하게 구는 지 살피는 것같이 보인다. 이 그림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을 알 수는 없으나 나는 카메라가 발명되기 이미 오래 전에 벨라스케스는 현실의 한순간을 화면에 담았다고 상상하고 싶다. 아마도 왕과 왕비가 앉아 있는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서 공주를 불러들였는데 왕이나 왕비가 벨라스케스에게 그가 그릴만한 모델이 왔다고 말을 했을 것이다. 지배자가 한 말은 언제나 명령으로 간주되므로, 이 지나가는 말은 벨라스케스에 의해 현실화되어 이같은 걸작이 탄생되었을 것이다."    

 

엘 그레코의 '목자들의 경배'(Adoration of the Shepherds). 인간의 육체를 일그러드려 표현하는 그레코의 화풍이 드러난 대표작이다. 1612~1614년 자신이 묻힐 예배당을 위해 그린 것이다. 

 

고야의 '1808년 5월3일'(The 3rd of May 1808). 프랑스 나폴레옹 군대가 스페인을 침입해 저지른 학살과 만행을 고발한 작품. 궁정화가로서 스페인을 통치했던 부르봉 왕가에 환멸을 느낀 고야는 프랑스 혁명의 바람이 스페인을 해방시켜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나폴레옹 군대는 해방군이 아니었다. 작품에서 프랑스 군인들의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그들은 한데 어우러져 있다. 감정이 배제된 채 총살 명령을 수행하는 살인 기계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반면 총살당하는 사람들은 감정을 가진 피와 살의 인간으로 표현돼 있다. 그 중에서도 흰 옷을 입고 손을 든 사람은 고야일 것 같다. 고야는 학살당하는 동족을 바라보며 피가 끓었던 자신을 등장시키고 싶어했을 것이다. 프랑스 군대가 퇴각한 뒤 부르봉 왕가의 페르난도 7세가 통치자가 됐다. 그 역시 혹독한 전제정치를 했다. 환명를 느낀 고야는 궁정화가직을 사퇴하고 프랑스로 떠났다. 고야는 타국에서 객사했다.    

 

프라도 미술관 정원에 세워진 고야의 입상.

 

 

 

 

 

 

 

 

 

 

 

 

 

최근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