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6년 봄,
몽골의 오논강 하류에 몽골족의 족장들이 모였습니다.
골육상쟁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마침내 몽골 고원이
한 영웅에 의해 통합된 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이날 테무진은 '칭기스칸'의 칭호를 부여받았습니다.
워싱턴포스트가 1999년,
지난 1000년의 역사 속에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 중 한 사람으로 선정한
바로 그 칭기스칸입니다.
 

 
 
 
 그로부터 800년이 지난 5월 8일,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함박 눈이 내렸습니다.
 

                                                                                                 <눈 내린 울란바토르 시내>

 몽골에서 봄 철에 내리는 눈은 행운의 상징이랍니다.
전날 노무현 대통령이 몽골을 찾았습니다.
남바린 엥흐바야르 몽골 대통령은
 “노 대통령이 우리에게 눈을 가지고 와 주셨다”고 환대했습니다.
가는 곳곳 마다 노 대통령은
눈 덕분에 더 큰 환대를 받았지요.
몽골 신문들도,
'몰골 건국 800주년 해에 첫 방문한 외국 대통령'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반겼습니다.
노 대통령의 몽골 방문은
이런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뤄졌습니다.
 
 몽골을 생각하면 가슴이 훈훈합니다.
마주치는 사람들이 낯설지 않습니다.
한.몽골 정상회담과 이후 이뤄진 이런저런 모임에서
가장 많이 나온 얘기는
'너무 닮았다'는 말입니다.
노 대통령도 엥흐바야르 대통령도,
'누가 한국 사람인지, 몽골사람인지 모르겠다'는 말을
자주 했습니다.
고려 시대 42년간의 대 몽골 항쟁이 있었지만,
양국 관계의 시작은 여늬 민족과는 달랐습니다.
굴종만을 요구하던 칭기스칸이 고려에게는
'형제의 의(義)'를 요구했습니다.
애초부터 정복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얘기입니다.  
몽골 사람들은 지금도 한국을
'송롱고'(무지개)의 나라라고 말합니다.
친밀감의 표현입니다.
몽골에는 '알란 고아' 설화가 있는데요
칭기스칸의 선조인 도분 메르겐이
'코리 토마드'라는 곳에서 알라 고아를 아내로 맞아
유복자로 세 아들을 출산했는데
'빛'을 받아 잉태했다는 내용입니다.
바로 이 코리 토마드 지역을 놓고
몽골과 우리나라 일부 학자들은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신지인 '고리국'(槁離國)에
비견하고 있습니다.
주몽은 '명궁'이라는 의미의 몽골어인
'제바이 메르겐'과 음가가 유사하다는
주장도 있구요.
몽골 초원에서 발견되는 돌 무더기들도
우리네 당산 나무 밑 돌무너기들을
연상시킵니다.
그 곳에 돌 얹으며
소원비는 것도 비슷하고.
 


 
하여간 양국은 몽골 반점 말고도
닮은 점이 많습니다.
 
 각설하고,
노 대통령의 이번 순방여정(몽골-아제르바이잔-아랍에미리트)은
징기스칸의 서역 정벌 경로와 닮았습니다.
그 경로는 그대로 중세 시대 동서 문화권의 교통로였던
초원길과 비단길의 루트입니다.
그 경로를 따라,
독자들과 시간 여행을 떠나보려 합니다.
몽골 고원을 평정한 칭기스칸이
서역 정벌에 나선 13세기로 거슬러 가봅시다.
 
 
 
 
 
 
 
 


최근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