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전쟁터에서 전사한 미 프로풋볼 선수 팻 틸먼을 소재로 한 기록 영화 ‘틸먼 이야기(The Tillman Story)’가 8월 20일(현지 시간) 미 전역에서 개봉됐다.
2002년 자원 입대할 당시 애리조나 카디널스 소속이었던 팻 틸먼은 시쳇말로 잘 나가는 선수였다. 2000년 시즌엔 태클 224회로 팀 신기록을 달성, 팀의 간판 수비수 자리를 굳혔다. 2000년 시즌이 끝나자 세인트루이스 램스는 5년에 900만달러의 연봉을 제시하며 이적을 권했다. 카디널스는 2001년 말, 360만달러의 연봉으로 3년 계약을 제의했다. 하지만 그는 일반의 예상을 깨고 2002년 여름, 육군 특수부대 레인저스에 입대했다.
팻 틸먼
고액 연봉과 화려한 선수 생활을 포기하고 입대한 그는 언론의 조명을 한 몸에 받았다. 그는 입대 이유를 묻는 기자들에게 “내 증조부가 일본의 진주만 공격 현장에 있었고 우리 집안의 많은 남자들이 전쟁터를 누볐다”면서 “나도 그들처럼 살고 싶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의 선택은 몇 개월 전에 터진 9·11 테러와 무관치 않았을 것이다. 마이너 리그 프로야구 선수였던 동생 케빈 틸먼도 형과 함께 입대했다. 틸먼 형제는 애국심의 상징이 됐다. 팻 틸먼은 2003년 이라크 전선에 투입됐고, 이후 아프가니스탄에 재배치됐다. 그러던 어느 날, 팻 틸먼의 가족은 그의 전사 통지서를 받는다. 군 당국은 팻 틸먼이 2004년 4월22일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접경 지역에서 순찰 도중 매복 중이던 적과의 교전 중에 동료 병사들을 구하고 장렬히 전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는 죽어서 영웅이 됐다. 장례식은 미국 사회의 애도 속에 엄수됐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그에게 은성 훈장을 수여했다. 팻 틸먼 ‘영웅 만들기’는 스탠리 매크리스털 당시 아프간 미군 사령관의 묵인하에 이뤄졌다. 하지만 그로부터 한 달 뒤, 미군 당국은 팻 틸먼이 아군의 오인 사격에 의해 숨졌다고 정정 발표했다.
영화는 팻 틸먼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주인공은 어머니 메리 틸먼이다. 메리 틸먼은 군 당국이 아들의 죽음을 선전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전사 경위를 조작했다는 의구심을 가지고 진상 규명 투쟁을 전개한 장본인이다. 미 의회가 2007년 뒤늦게 팻 틸먼 전사 경위 조작 관련 청문회를 연 것도 메리 틸먼의 작품이다.
메리 틸먼은 “이 영화는 아들 팻이 조작된 우상이 아니라 한 명의 인간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군대와 정부는 그의 죽음에 대해 거짓을 말했고 그의 죽음을 잔인하게 이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팻과 같은 사례는 지금도 미국 군대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군은 수많은 전사자 유족들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메리 틸먼의 분노엔 십분 공감이 간다. 아들의 전사 경위가 조작됐다는 사실을 밝혀낸 뒤, 메리 틸먼은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정치권 등을 상대로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하지만 군의 사기와 아프가니스탄 전황 악화 등을 고려한 정치적 판단 아래, 진상 규명 작업은 사실상 유야무야됐다. 메리 틸먼은 아들의 전사 경위를 왜곡하는 데 앞장섰다고 확신한 매크리스털 사령관이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면서 군에 대한 불신감을 키웠다.
지금도 팻 틸먼의 정확한 전사 경위는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그의 전사 초기, 목격자 진술 등이 통째로 왜곡됐기 때문이다. 군 당국은 팻 틸먼의 상징성을 고려해 그의 죽음을 미화하고 싶었을 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팻 틸먼 전사 경위 조작 사건은 미 국민의 군에 대한 신뢰도에 치명적 타격을 가했다. 팻 틸먼이 아군의 오인 사격으로 숨졌어도 그는 영웅이 될 자격이 충분했다. 영화는 ‘정직이 최선의 정책’이라는 금언을 상기시킨다. 진상 왜곡 전력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국 군 당국과 국회 인사청문 대상에 오른 장관 후보자들도 팻 틸먼 사건에서 정직의 교훈을 얻을 일이다.
*후기
이 칼럼을 쓰고 여름 휴가를 다녀왔더니 김태호 총리 후보자의 거짓말 논란이 한창이더군요.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을 만난 시점을 놓고, 김 후보자는 청문회장에서 '2007년 가을 처음 봤다"고 했다는데,
민주당이 '2006년 10월에 골프치지 않았느냐'고 반박하고, 이에 김 후보자는 "그랬다"고 시인한 뒤
그 보다 앞선 시점에 김 후보자가 박 전 회장과 찍은 사진이 공개되고....
결국 김 후보자의 거짓말 행각은 그의 낙마를 불러왔는데,
생각할수록 이해되지 않는 것은,
그가 왜 누군가와 만난 문제에서 거짓말을 했을까 하는 점.
현직 도지사로서 누군들 만나지 못할까.
공직 후보자의 거짓말에 여론이 악화되는 것은
뭔가 '구린' 구석이 있어서 진실을 숨겼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조기자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파원칼럼]美의회 권력교체 ‘감동의 축제’ (0) | 2011.01.10 |
---|---|
[특파원칼럼]미 한인사회의 풀뿌리 유권자 운동 (0) | 2010.11.15 |
[특파원칼럼]당파 없는 미국의 교육개혁 (0) | 2010.10.17 |
[특파원칼럼]한미, 미일 관계 역전의 교훈 (0) | 2010.09.22 |
[특파원칼럼]워싱턴에서 느낀 한국의 높아진 위상 (0) | 2010.05.02 |
[특파원칼럼]오바마 핵정책과 한반도 (0) | 2010.04.04 |
한미 옥죄는 평화협정 굴레 (0) | 2010.03.08 |
[특파원칼럼]미국의 음주운전 처벌 (0) | 2009.12.28 |